Cloud/Cloud Security

클라우드 서비스와 보안의 이해

burrri 2025. 3. 19. 17:42

클라우드 서비스

SaaS
(software as a service)
사용자가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,
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모델
Gmail, Outlook
Google Drive, Dropbox
Slack, Microsoft Teams
PaaS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모델 AWS Elastic Beanstalk
Heroku

IaaS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 IT 인프라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모델 Amazon EC2
Microsoft Azure Virtual Machines
FaaS 서버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, 코드(함수) 단위로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 AWS Lambda
Google Cloud Functions

 

 

AWS 공동 책임 모델 (IaaS)

고객사  : data, application, OS

클라우드사  : virtualization, infrastructure, physical 

 

 

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

클라우드 가상화 보안관리 지침은 다음의 KISA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https://isms.kisa.or.kr/main/csap/notice/

 

KISA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 클라우드 보안인증제 자료실

 

isms.kisa.or.kr

 

침투 테스트용 고객 서비스 정책

허용 서비스

  • EC2, NAT gateway, Elastic Load Balancer
  • RDS
  • CloudFront
  • API gateway
  • lambda / lambda edge
  • Lightsail
  • Elastic Beanstalk 환경

금지활동 (다른 사용자에게도 영향 가능)

  • Route 53 hosted Zones를 통한 DNS zone walking : 
  • DoS, DDoS
  • 포트/프로토콜 flooding
  • 요청 flooding (로그인/api 요청..등)

 

 

보안 관제와 침해대응 업무의 이해

보안관제

  • 네트워크와 시스템에서 오가는 모든 데이터 수집 및 분석 
  • (DMZ-인트라넷-업무망) 등의 시스템의 모든 보안성을 고려한 업무 (외부해킹, 내부정보 유출.. 등)
  • 그 결과를 토대로 보호대상 정보자산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일련의 업무 활동